전시 마지막 날 7시가 되자 여기저기 흩어져 손님을 맞고 저녁을 때우던 ‘공간주’ 멤버들이 한자리에 모였다. 긴 얘기는 필요 없었다. 건물이 문을 닫는 10시까지 정리를 마쳐야했다. (이번 전시가 열린 ‘인사1길 컬처스페이스’ 내 ‘일주차’는 원래 9시 30분 마감이지만 매니저님 이하 직원들은 전시 준비 기간 그리고 전시 기간 동안 연장근무를 무릅쓰면서 전체 건물 마감 시간인 10시까지 우리가 공간을 사용을 할 수 있게 배려를 해주었다.) 두 명은 전시 메인홀과 안쪽의 ‘이야기방’을 나머지 두 명은 부엌과 1층 매대를 맡기로 했다. 설치한 작품을 걷어내고 유리창에 받았던 방명록을 사진으로 대신 남기고 지웠다. 수납장에 진열해놓았던 상품들을 회사별로 분류하고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컵을 부엌 안쪽에서 꺼내놓았다. 한쪽에 몰아놓은 테이블과 의자를 제자리에 두고 방석 하나하나까지 각 색깔의 위치를 기억해 꼼꼼하게 매달았다. 전시를 시작하기 전과 같은 모습으로 돌아왔다.

<공간주 마지막 그리고 시작의 우리>



<공간의 주인은 모두>
행사 뒷정리를 책임지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이렇게까지 다녀간 흔적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? “공간의 주인은 모두”라는 ‘공간주’의 뜻이 그러하듯 우리가 얼마 동안 빌려 쓴 공간은 우리의 전유물이 아니라 그 공간을 내어준 관계자들과 와서 참여해준 관객들 모두의 것이기 때문이다. ‘공간주’의 역할은 우리가 애정하는 의미 있는 공간이 사라지지 않도록 존재를 널리 알리고 그를 통해 온 사람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쳐 그들 나름대로의 공간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게 돕는 것이다. 성황리에 끝난 <오동나무집> 전시 덕에 ‘인사1길’ 공간 기획을 계속 맡아달라는 제안도 있었지만 다음 팀(들)에게 그 기회를 넘기고 또 다른 빈집을 찾아 나서기로 했다. (공간 기획과는 별도로 <오동나무집> 전시에 참여한 소셜벤처 ‘비어스웨딩’은 ‘인사1길’과 스몰웨딩 장소 계약 협의중이다.)

<오동나무와 승동교회>
전시를 시작하기 전과 같은 모습으로 되돌려놓고 나자 처음 ‘인사1길’ 갔을 때의 풍경이 생각났다. 친구가 알려준 곳으로, 뒤늦게 가보았을 때는 개관전인 <팅가팅가>전이 끝나 휑하니 비어있었다. 그래서인지 그 넓은 건물과 마당에는 우리 일행밖에 없었다. 인사동 초입이라는 좋은 입지에도 불구하고 아직 가구공장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바뀐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람들이 잘 모르고 지나치는 것 같았다. 가구공장이 확장해감에 따라 서로 다른 건물 세 동이 합쳐진 모습도 흥미로웠고 별관을 마주하고 난 마당과 오동나무 고목도 바로 몇 발자국 밖 도심의 번잡함을 잊게 했다. 아담한 뒷문 뒤로 3.1 운동의 중요한 현장 중 하나였던 승동교회의 부속 건물 한옥과 최첨단 기술로 지어진 종로타워가 겹쳐보였다. 분주한 현대인에게, 뻔한 관광 상품만 보고 돌아가는 관광객에게 이 고요와 중첩된 시간과 그 시간을 살다간 이곳 사람들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다. 그것이 고여 있기만 한 것이 아니라 현재로 이어져오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다.







그래서 기획한 것이 <오동나무집> 전시이다. 서울 최고 중심에 “주변적 가치”를 지향하는 소셜 벤처 청년들을 불러 모았다. 소외된 이들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기업들인 만큼 인사동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고 지나쳤던 숨은 이야기와 의미를 발견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. 그리고 여기저기 흩어져 언뜻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일을 하고 있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다. 그것은 뿌리와 가지를 구분할 수 없는 나무 영상 등 전시와 매 저녁 마다 있었던 행사-오프닝 네트워킹 파티, 골목 사진 및 인사동 사람 이야기, 공간주 담소, 소셜 벤처 대표들의 이야기전-로 잘 구현되었다.



<03.07 오프닝 날 & 준비한 전 2시간만에 매진 & 막걸리 20통 흡수>

<1층 소셜벤쳐가 상품판매 진열과 멍냥공방 대표님 상주 , 이날만큼은 신지연대표님 1층 소셜벤쳐가 판매매니저>

<익선동 꽃길팀 출동 (사랑합니다.)>

<이대일작가 오프닝 퍼포먼스>

<03.08 둘째날 저녁, 지역 이야기전>

<살맛나는 골목세상 김란기 골목대장>

<북촌문화연구소 은정태소장>

<03.09 셋째날 저녁, 공간주 소담 & 다양한 작가님들과 함께>

<프로젝트 ㄱ 대표님들 출동>

<내츄럴 마마~~오늘의 활력소 등장>

<03.10 넷째날 저녁, 파이널 소셜벤쳐 대표님과 여기 모인 사람들 이야기전>

<점점 많아지는 사람들>

<체부동에서 오신 남정네들 & 이날만큼은 오동나무집 바텐더들>
